암(cancer)에 관한 모든 것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오늘은 '암'이란 무엇인지,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알기 쉽게 Q&A 형식으로 진행하겠습니다.

 

1. 암이란 무엇인가요?

암(cancer)은 정상세포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변이되고, 정상 세포 주기에서 벗어나, 무한정 분열해서 증식하는 '악성' 질환입니다. '악성'이라는 용어는, '침습성'과 '전이성'을 보이면서, 사망률을 높일 때 붙입니다.

2. 종양(tumor), 암(cancer)등의 용어를 설명해 주세요.

① 종양(신생물, tumor, neoplasm) : 조직이 내 몸의 통제를 벗어나, 독자적으로 이상세포가 발생하여, 과잉 증식된 '비정상적인 덩어리'. 생체 세포가 자율적으로 과잉 증식한 조직을 '포괄적'으로 나타냄. '실질세포=종양세포'와 '간질'로 구성되어 있음. 간질은 결합조직, 혈관, 림프관, 식세포등, 종양의 성장과 진행에 관여하고, 실질세포(종양세포)를 지지하는 조직임.

② 암(cancer) : 침습성과 전이성을 가진, 고도로 미분화된 종양 (즉, 암은 종양 중에 악성인 경우를 뜻 함)

③ 악성(malignant) : 진행성으로 악화되어, 사망의 가능성을 높이는 침습성과 전이성을 가진 종양 (∴ 악성 종양 = 암)

④ 양성(benign) : 침습성과 전이성이 없으며, 제거시 재발하지 않는 종양

⑤ 화생 (metaplasia) : 한 형태의 성숙한 세포가, 다른 형태의 성숙한 세포로 대치되는 것 (ex. 기관지 원주섬모상피세포 → 중층 편평 상피세포)

⑥ 이형성 (dysplasia) : 세포가 성숙하면서 세포의 크기, 형태, 배열등이 비정상적으로 무질서하게 변하는 상태 (암의 전 단계)

 

3. 암(cancer)의 종류는 무엇이 있나요?

① carcinoma (암종) : 종양의 실질이 상피성 세포에서 유래된 것. 위, 폐, 간, 장, 자궁, 유방등에서 발생. 노령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증식과 침윤의 속도가 상당히 빠른 것이 특징

② sarcoma (육종) : 결합조직 or 비상피성 세포가 종양화 된 것. 뼈, 근육, 신경, 근막, 혈관, 지방, 연골등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

③ melanoma (흑색종) : 멜라닌세포(melanocyte)에서 기원하는 암

④ leukemia (백혈병) : 백혈구의 이상 증식

⑤ lymphoma (림프종) : 림프구, 림프조직의 이상 증식

⑥ myeloma (골수종) : 골수조직의 이상 증식

*ⓛ,②,③을 고형암이라고 합니다*

 

4. 양성 및 악성 종양(신생물)의 기원에 따른 명명법은 어떻게 되나요?

5. 암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요?

암의 원인은 크게 3가지 ① 환경요인, ② 유전요인, ③ 유전자 복제실수입니다. 대기오염, 흡연, 서구화된 식사와 같은 '환경요인'은 폐암이나, 위암에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요인'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을 말합니다. 전립선암이나 유방암은 환경요인의 비율이 낮지만, 복제실수가 각각 96%, 83%로 높습니다. 전체 암으로 보면 '유전자 복제 실수'가 66%, 환경요인은 29%, 유전요인은 5%정도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1) 외적 요인

① 화학적 발암인자 : 타르, 벤조피렌, 석면등

② 물리적 발암인자 : 기계적 자극, 고온, 광선, 방사선등

③ 생물학적 발암인자 : 바이러스 (ex 자궁경부암, 간암), 세균, 곰팡이, 기생충등

④ 환경인자

a. 음식물 : 서구화된 식습관

b. 담배(폐암), 술(식도암)등 기호물 관련

c. 대기 : 미세먼지 상승으로 폐암 증가

d. 직업 : 노출 환경에 따른 암 발생

2) 내적 요인 (개인별 요인)

① 유전 : 가족성 대장선종증, 색소성건피증, 신경섬유종증등

② 연령, 성별, 인종

a. 한국 남자 → 위암, 간암, 폐암 호발

b, 한국 여자 → 자궁암, 위암, 유방암 호발

c. 미국 남자 → 폐암, 전립선암, 대장암 호발

d. 미국 여자 → 대장암, 폐암, 자궁암 호발

e. 소아 → 백혈병, 뇌종양, 림프종, 골암 발생 증가

f. 노인 → 폐암,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위암등의 악성종양은 노인에서 호발

③ 내분비 이상

a. 폐경 전후의 여성 → 자궁체암

b. 수유경험 없는 여성 → 유방암

 

6. 암의 발생기전(carcinogenesis)은 어떻게 되나요?

① 1단계 (개시) : 정상세포가 발암물질에 노출되어, DNA에 심각한 이상이 생기는 과정

② 2단계 (촉진) : 발암물질에 의해 개시된 세포에, 촉진제가 작용하여 증식 → 암세포의 역할 수행

③ 3단계 (진행) : 악성종양으로 전환하여 지속적인 증식

④ 4단계 (전이) : 림프나 혈액, 파종의 경로로 다른 부위로 옮겨져 증식함

 

7. TNM 병기에 대해 알려주세요.

*T3 : 최초 발생 장기보다는 퍼져 있으나, 장기 내에 국한되어 진행되는 경우*

*T4 : 다른 장기, 신경, 혈관에 광범위하게 퍼져서 진행되는 경우*

 

8. 암을 1기~4기로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① 1기(stage1) : 최초 발생 장기에 국한되고, 전이가 없으며, 수술과 절제가 가능하여 생존 가능성이 높은 경우.

② 2기(stage2) : 최초 발생 주위로 침윤 및 전이는 없거나, 혹은 소수의 국소 림프절 전이만 있어서, 수술과 절제 가능. 하지만, 완전절제는 불확실한 경우.

③ 3기(stage3) : 국소 림프절에 전이가 많으나, 파종이나 혈행성 전이는 없는 경우.

④ 4기(stage4) : 파종이나 혈행성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

*파종성 전이 : 체강 표면이나, 점막 표면에 마치 종자를 뿌려놓은 것처럼 확산하는 경우 → 폐암, 결장암, 난소암등에서 보임*

 

9. 각종 통계 자료

1) 2016년 사망원인 통계

2) 2016년 신규 암 발생 비율

3) 2017년 암종별 사망률

4) 암종별 5년 생존률

5) 암 종류별 유병자 현황

오늘은 암의 정의부터 시작해서, 현재 국내 암 환자 현황까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개별 암의 검진 주기, 진단, 치료등은 따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랑합니다. from Dr QL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1)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