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정보/의료 뉴스 닥터QL 2018. 7. 14. 10:35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오늘은 흔하게 사용되는 수면제 ‘바리움’과 공황장애 치료제 ‘자낙스’가 우리 몸 어디에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왜냐구요? 이번달 ‘네이처’에 관련 내용이 실렸거든요^^ 가바(GABA)는 신경활성을 억제하는 ‘신경전달 물질’입니다. 뇌에서 신경전달을 억제하려면, 기본적으로 가바(GABA)라는 물질이, A형-가바수용체(GABA-A수용체)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이죠. 그래서, 중추신경계가 관장하는 정신활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가바수용체가 제기능을 하지 못하면 ‘간질’이나, ‘불면증’에 시달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를 타깃으로 하는 약물인 바리움, 자낙스등을 복용하게 되면 신경이 안정화 되고, 우울증 및 공황장애가 호전됩니다. 미국 연구팀이 ‘극저온 전자현..
의료 정보/의료 뉴스 닥터QL 2017. 10. 18. 16:19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오늘은 영국메디컬저널(BMJ)의 논문 한편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원문은 여기로 → https://goo.gl/Woirny 이 논문의 제목은 ; "EMA에 의해 승인된 항암제들이 제출한 '총 생존기간' 및 '삶의 질'에 관한 입증자료의 효용성/타당성" : 2009~2013년 승인된 약물들의 후향적 코호트 연구입니다.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2009년부터 2013년 사이에 EMA(유럽 의약품 관리국)에서 48개의 항암제(총 적응증은 68개)가 승인되었다고 합니다. 이 새로운 항암제 가운데 무려 57%가, 효능이 충분히 입증되지 못한채 발매되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즉, EMA로부터 허가를 취득한 항암제의 통과 근거가, '생존기간 연장'이나 '삶의 질 개선' 등을 나타..
의료 정보/의료 뉴스 닥터QL 2017. 8. 15. 20:55
오늘 언론이 '살충제 달걀' 때문에 하루종일 시끄럽습니다. 포탈사이트 검색어 1위는 단연 '달걀', '살충제달걀'입니다. 유럽의 네덜란드, 벨기에로부터 시작된 '살충제 달걀' 문제가 국내에도 이슈화 된거지요. 네덜란드 양계업체가 닭에 기생하는 붉은 닭진드기를 없애기 위해, 피프로닐 성분이 포함된 벨기에산 살충제를 1년 넘게 사용했는데요, 위의 그림에서 살충제 달걀이 유럽 많은 지역에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이 '피프로닐' 성분은 살충제로 많이 쓰이는데요, 닭장 안의 진드기, 파리, 모기등을 없애기 위한 것입니다. 보통 농가에서는 진드기 때문에 살충제를 쓰는데, 사용하다보면 내성이 생겨 점점 쎈 살충제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위의 왼편 그림은 피프로닐의 화학 구조식이구요, 강아지 및 고양이 피부에 기생하는 ..
의료 정보/의료 뉴스 닥터QL 2017. 5. 16. 23:11
안녕하세요, Dr QL 김성훈입니다. 이놈의 QL... ㅋㅋ 저도 QL의 뜻을 설명하기 힘든데요, 나중에 천천히 정리해서... ^^;; 하여간, 오늘 말씀드릴 주제는 '조영제 부작용'입니다. 최근들어 의료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지고, 건강검진이 보편화되면서, CT나 MRI 검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한번씩 보셨죠? CT입니다. ^^ 5월 10일 식약처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조영제 부작용은 2009년 1688건에서 2016년 18,240건으로 7년사이 10.8배 급증했다고 합니다. 사실 병원에서 가볍게, 또는 상당한 부작용이 일어났지만, 치료 후 넘어가는 경우까지 합한다면, 부작용 건수는 훨씬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이 기간 과민성 쇼크로 25명이 사망했다고도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