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소개/골다공증 닥터QL 2018. 6. 17. 13:49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오늘은 골다공증의 가장 큰 문제인 골절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위한 치료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초고령 사회가 이제 코앞입니다. 그에 따라, 골다공증 환자도 증가하고 있는데요, 제가 자주 출연하는 MBN '천기누설'에서도 골다공증을 다룬 적이 있습니다. 골다공증의 치료 목적은 ‘골절의 예방 및 삶의 질 개선’입니다.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은 2차, 3차 골절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 적극적인 검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 즉 ‘골다공증성 골절’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자신의 키 높이 이하의 낙상에 의한 충격으로 발생하는 비외상성 골절’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작은 충격에도 불구하고 골밀도가 떨어져 있어..
질환소개/골다공증 닥터QL 2018. 6. 13. 16:02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오늘은 골다공증이 왜 생기는지 심도있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몸의 ‘뼈의 총량’(골량)은 20대 중반에서 30대 초반에 최대 정점을 찍고, 그 이후 나이가 들수록 조금씩 감소합니다. 특히 사춘기 전후에 골량 증가 폭이 크므로, 이 시기의 영양 섭취는 굉장히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낡은 뼈가 제거되는 것을 ‘골흡수’라고 이야기 하며, 새로운 뼈가 생성되는 것을 ‘골형성’이라고 합니다. 30세에서 50세까지 대체로 골량은 유지되며, 소량의 골량 감소만 관찰됩니다. 골흡수와 골형성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폐경이후 급격한 골소실이 진행되는데. 이는 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결핍으로 발생합니다. 골흡수와 골형성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뼈가 현재의..
질환소개/골다공증 닥터QL 2018. 6. 10. 14:53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이제 완연한 여름이므로, 건강을 위해 조금더 신경쓰셔야 하겠습니다. 저도 거의 매일 런닝을 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께서도 꾸준한 운동을 통해 건강을 지키셨으면 좋겠네요.^^ 오늘의 주제는 '골다공증'인데요, 지난 5월 '대한 골대사학회'에서 3년만에 치료지침을 개정하여, 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먼저 최근 골다공증에 관한 통계를 몇가지 말씀 드릴께요. 첫째, 여성이 대퇴골절로 사망할 위험은 2.8%로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과 같다고 합니다. 둘째, 국내 지역 코호트기반 연구에 따르면, 50세 이상 성인의 요추(허리뼈) 골다공증 유병률은 여성의 경우 24%, 남성은 12.9%라고 합니다. 셋째, 정량적 초음파 측정법을 통한 진단 결과에서도, 여성 74..
질환소개/골다공증 닥터QL 2018. 1. 1. 13:15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먼저,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기원합니다~ 정말로 다사다난했던 2017년이었죠? 개인적으로 많은 일들이 있었지만, 가장 감사한 것은 건강하게 지내왔다는 점입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 건강하시고 행복한 한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올해 2018년의 첫 주제는 '골다공증'입니다. 폐경 여성에게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인데, 당장 눈에 보이지 않아 심각성을 모르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뼈와 골다공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차근차근 살펴볼까요? 1) 뼈(bone)의 구조와 기능 ① 뼈는 신체구조에 모양을 부여하고 지지하며, 내부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② 근육과 연결되어 신체운동을 수행합니다. ③ 적색골수에서 백혈구, 적혈구, 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