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소개/심장 질환 닥터QL 2018. 9. 16. 13:50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오늘은 비가 부슬부슬, 분위기 있습니다. 커피 마시며 포스팅하기 좋은 날씨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2018년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입니다. 올 한해, 고혈압과 관련해서 여러가지 이슈가 있었습니다. 그 중에 하나가, 미국 ACC-AHA고혈압 가이드라인에서 '고혈압 진단기준'을 130~139/80~89mmHg로 강화시킨 것입니다. 만약, 진단 기준을 기존 수축기 혈압 140mmHg이상에서, 130mmHg로 내려버리면, 굉장히 많은 신규 고혈압 환자가 탄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대한고혈압학회에서 진료지침을 내 놓았습니다. 올해 2018년 대한고혈압학회에서 내 놓은 기준을 보면, 고혈압 진단기준은 140/90mmHg 이상으로 기존과 동일하게 고지하였습니다. 다만 주의..
질환소개/심장 질환 닥터QL 2017. 12. 17. 14:48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요새, 너무너무 춥지요? 저도 이불 밖으로 나오기가 힘들어서 게을러지는 요즘입니다. 그래도, 스트레칭 하면서 몸 좀 푸시고, 활기찬 주말 오후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오늘의 주제는, 고혈압과 소금입니다. 얼마전 MBN '생생정보마당'에 출연해서, 위와 같은 주제로 방송을 했었는데요, 방송 시간이 짧다 보니, 정보 전달에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오늘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 드리고자 합니다. 세상에 빛과 소금이 되어라. 많이 들어보셨죠? 그만큼 중요하다는 이야기 입니다. 과거에는 소금이 화폐 대신에 사용되기도 했었습니다. (그림출처 : 한국은행 경제칼럼) 일정량의 소금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합니다. 소금의 성분인 나트륨은 우리몸 노폐물의 배출을 돕고, 체액의 양을 ..
질환소개/심장 질환 닥터QL 2017. 11. 26. 14:06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정말 오래간만에 인사드리네요~ (점점 게을러지는........ㅜㅜ) 변명을 해보자면, 최근 환절기라 환자도 많았고, 집안 행사도 계속 있었고, 그러다 보니 피로도 누적되고.....(변명 끝ㅋㅋㅋ) 하여간,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고혈압'입니다. 너무 흔하게 접하는 질환이라 그런지, 많은 분들이 고혈압에 대해 잘 모르시거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십니다. 하지만 고혈압은, 우리나라 성인인구 30%에서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며, 방치할 경우 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과 같은 치명적인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무서운 병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고혈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최근 이슈가 되는 '고혈압 진단기준'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1) 고혈압이..
질환소개/심장 질환 닥터QL 2017. 10. 8. 19:47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이제 연휴 막바지로 치닫고 있습니다. 아쉽지만, 이제 일상으로 돌아갈 준비를 해야 할 때입니다. ㅜㅜ 마무리 잘 하시길 기원하며...(아~아쉬워라ㅡㅡ;;) 오늘의 주제는 '심부전', 영어로 heart failure. 즉, 심장이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2016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거짓말처럼 우리곁을 떠난 '조지마이클'도 사인이 심부전이었다고 합니다. 당시 검색어 순위에 심부전이 잠깐 올랐었습니다. 'Last christmas', 'Carless whisper', 'Kissing a fool'등 명곡을 남기셨죠. 개인적으로 'Move on'이라는 곡을 제일 좋아했습니다. 감미로운 목소리를 제대로 감상할 수 있죠. ㅜㅜ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그..
질환소개/심장 질환 닥터QL 2017. 10. 7. 19:34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질환은 부정맥 질환의 일종인 "심방세동"입니다. 저는 정형외과 병원에 근무하면서, 수술전 환자들의 전반적인 상태를 체크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심방세동을 갖고 계신 환자분을 많이 만나뵙고, 치료도 하고 있지요. 하지만, 많은 분들이 본인이 심방세동을 갖고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고, 치료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알지 못하고 계시네요. 그리하여, 이번 기회에 '심방세동'에 관해 자세히 알아 보고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자, 준비되셨나요??!! ^^;; 위의 도표는 부정맥의 종류를 나타낸 것입니다. 심방세동은 빈맥성 부정맥(심장이 빨리 뛰는 부정맥)이면서, 상실성 부정맥(심실위 비정상적인 전기적 신호로 발생하는 부정맥)입니다. 1. 심방..
질환소개/심장 질환 닥터QL 2017. 4. 30. 23:53
5. 무슨 증상이 있습니까?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없습니다. 혈압이 매우 높으면 두통이나 뒷목이 뻣뻣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6. 무슨 위험이 있습니까?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라는 악명으로 유명합니다. 정상 혈압의 사람보다 뇌졸중이나 심장병의 위험이 높습니다. 혈압이 높을수록 위험도가 같이 증가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고혈압으로 인해 심장과 신장(콩팥)이 지치게 되어, 심부전과 신부전을 초래하게 됩니다. 혈압을 정상 범위 안으로 유지함으로써 뇌졸중과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병, 신부전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7. 무슨 치료가 있습니까? 약(항고혈압약제)이 높은 혈압을 낮추어 줍니다. 그러나 분별있고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혈압을 정상으로 낮출 수도 있습니다. 이런 생활습관 개선으로 약을 줄이거나 ..
질환소개/심장 질환 닥터QL 2017. 4. 30. 23:51
1. 고혈압이란 무엇입니까? 높은 혈압을 말하며, 정상 혈압 수치보다 클 때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측정하는 혈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높은 혈압인 수축기 혈압과 낮은 혈압인 이완기 혈압입니다.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피를 전신순환으로 펌프질하는 순간의 혈압을 말하고, 이완기 혈압은 심장이 이완하면서 다시 피를 모을 때의 혈압을 말합니다. 보통 혈압은 ‘130에 80이다’는 식으로 수축기 혈압을 먼저 말합니다. 기록할 때는 130/80으로 씁니다. 수축기 혈압이 140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이상일때 고혈압이 있다고 합니다. 2. 정상 혈압과 권장 혈압은 얼마인가요?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정상 혈압은 120/80 미만인 경우입니다. 고혈압 전단계는 1) 수축기 혈압이 120~129 이거나, 확장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