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QL의 공부법/통계공부 닥터QL 2018. 12. 12. 17:13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오늘은 의학자료를 살펴볼 때 마주치는 '근거수준'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1. 근거수준의 등급화 2. 권고의 등급화 및 표기 여기서는 modified GRADE (Grading of Recommendation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을 소개합니다. 의학 관련 논문, 서적을 읽을 때, 자료에 관해서 어느 수준으로 신뢰하실 수 있는지 감이 오시나요? 사랑합니다. from Dr QL
Dr.QL의 공부법/통계공부 닥터QL 2017. 9. 3. 15:39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오늘은 밀린 포스팅하느라, 투썸에서 계속 커피만 마시고 있네요^^;; 현대의학은 대단히 빠르게 발전해 왔고, 앞으로 더 빠르게 발전할 것입니다. 이전 의학에서는 경험 많은 의사의 의견이 치료의 중심이 되어왔으나, 현재 의학은 근거중심(evidence based)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연구가 근거가 있으며, 믿을 만 하다고 할 수 있을까요? 여기에서 말하는 연구라는 것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임상시험(clinical trial)'을 말하며, 임상시험이 없는 경우에는 '코호트 연구’ 또는 ‘환자-대조군 연구’등이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특정 치료가 정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단계는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됩니다. 먼저 세포를 대상으로 하..
Dr.QL의 공부법/통계공부 닥터QL 2017. 8. 20. 12:35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여기 인천은, 비가 꽤나 세차게 내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나름 차분한 휴일을 보내고 있네요. ^^; 요새는 블로그에 다양한 종류의 글을 올리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통계가 가장 애착이 갑니다. 우리가 어떤 전문적 지식을 접할때, 참 혹은 거짓을 가릴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아주 어려운 내용까지는 아니더라도, 일상 생활에서 보다 쉽게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정도를 목표로, 글을 써보겠습니다. ^^ 오늘의 주제는 '모수 검정, 비모수 검정'입니다. 우리가 통계를 통해 알고 싶은 것은 모집단(전체집단)의 특성입니다. 당뇨신약 하나가 개발되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약의 효과를 전세계 당뇨 환자에게 테스트 해 볼 수는 없겠지요? 그래서 현실적인 ..
Dr.QL의 공부법/통계공부 닥터QL 2017. 6. 17. 19:57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요새는 '인사 청문회'가 뉴스 메인을 장식하고 있습니다. 평소 직무 능력이 뛰어나더라도, 과거 큰 흠결이 있다면 장관으로서는 부적합 하겠지요. 하여간, 최근 이런저런 문제에도 불구하고,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런 뉴스 말미에 꼭 나오는 멘트~!! 아시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 김상조·강경화 임명 강행에도 83%가 “文대통령 잘하고 있다”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하는 방식으로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위의 기사는 오늘 인터넷 기사를 인용한 ..